중진공 정책자금 중점지원분야, 2023년

유익한 글은 공유하세요. 땡큐! 하실 겁니다.

중진공 정책자금은 신청기회를 부여하는 기준으로 ‘정책우선 평가도’라는 절차를 운영한다. 중진공 정책자금 중점지원분야는 고용창출, 성과공유, 수출 항목과 함께 정책우선도 평가 요소이다. 중진공 정책자금 중점지원분야를 영위하는 사업자는 정책자금을 우선 지원받을 수 있다. 인정받으려면 사업자가 주장해야 하므로 정책자금을 신청하는 기업이 먼저 중점지원분야 임을 확인해야 한다. 융자 신청 3단계 정책우선도 평가를 통과하는 요소 중 하나이고 2023년에 추가된 분야가 있다.


지난해와 달라진 내용이 궁금하신 분은 「2022년 정책자금 중점지원분야」글을 참고해 보세요.


중진공 정책자금 중점지원분야

중점지원분야 운영 목적

중점지원부야 해당 기업은 한도금액 우대, 융자제외업종 예외 적용, 최대대출한도(잔액) 우대, 정책우선도 평가시 고려 하고 있습니다.
중점지원분야는 ①혁신성장분야, ②그린분야, ③비대면분야, ④뿌리산업, ⑤소재‧부품‧장비산업, ⑥지역특화(주력)산업, ⑦지식서비스산업, ⑧융복합 및 프랜차이즈산업, ⑨물류산업, ⑩유망소비재산업 등 총 10가지 입니다. 첨단기술사업이나 제조업이 아니어도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정책자금 우선지원

정책자금은 예산 한도 내에서 집행하기 때문에 자금이 부족합니다. 신청금액 보다 작은 금액으로 지원결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줄여서 경우에 선착순에도 불구하고 중점지원분야 영위 기업에게 우선하여 정책자금은 지원합니다.

정책자금 융자제외 업종 운용의 예외

중진공 중소기업정책자금은 소상공인을 융자제외 대상이지만 중점지원분야(10가지) 영위기업은 예외적으로 소상공인 지원을 허용 합니다. 기타 여러가지 제외기준에서 예외 적용하거나 우대 받을 수 있습니다.

중점지원분야 (참고1~10)

• 혁신성장분야(참고1)
* 초격차·신산업 분야(참고1-1)
• 그린분야(참고2)
• 비대면분야(참고3)
• 뿌리산업, 뿌리기술(참고4, 4-1)
• 소재‧부품‧장비산업(참고5)
• 지역특화(주력)산업(참고6)
* 지역신산업(참고6-1)
• 지식서비스산업(참고7)
• 융복합 및 프랜차이즈산업(참고8)
• 물류산업(참고9)
• 유망소비재산업(참고10)

최대대출한도(잔액)우대

100억원 (일반기업은 60억원)

‘정책우선도 평가’(운전자금) 고려

* 정책우선도 평가는 그린분야, 혁신성장분야, 지역주력산업, 고용창출, 성과공유, 수출 등을 고려하여 평가합니다. 이 글에 열거된 내용들이 기본 상담 후 융자신청 기회를 부여하는 정책우선도 평가에 핵심 요인이 됩니다.
* 상담 완료 기업은 ‘정책우선도 평가’ 단계에서 정책자금 신청기회를 부여할지 여부를 결정함.

중소기업정책자금 융자절차
중소기업정책자금 융자절차

중진공 중소기업 정책자금 2023년 융자계획 규모는 4조9,739억원 입니다.


1 혁신성장분야 (참고1)

신제조공정
3D머신비전, 롤투롤제조, 개인맞춤형 제품생산시스템, 입체프린팅, 이종‘접합, 4D스캐닝, 복합재 제조공정, 지능형기계, 인덕션히터,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첨단‘가공시스템, 비파괴 검사, 미세가공, 심해저/극한환경, 해양플랜트, 고점도 물질용 건조기술, 하이브리드 제조

로봇
협업로봇(코봇), 지능형 서비스로봇, 엑소스켈레톤

항공·우주
드론(무인기), 위성, 발사체, 항공기

차세대동력장치
첨단철도, 스마트카, 스마트모빌리티, 전기차/하이브리드, 전기차/하이브리드 인프라/서비스, 수소전기자동차, 스털링엔진, 고효율/친환경 선박, 수소전기자동차 인프라/서비스

차세대 전자
기능성 탄소, 압전소자, 초전도체, 전도성잉크, 열전소자, 차세대 디스플레이‘, 다차원물질

고부가표면처리 
특수코팅, 자기치유재료, 원자층증착

바이오
생물유래, 의료용 화학재료(생체적용), 바이오화학소재

융복합소재
나노섬유, 슈퍼섬유, 스마트섬유, 복합재료

다기능소재
이온성액체, 고기능성촉매, 초고강도 금속, 기능성나노필름, 자극반응성소재, 기능성 분리막, 초경량소재, 고기능 다공성소재, 기능성 나노입자, 타이타늄, 기능성 특수유리, 고기능성 고분자 첨가제, 고성능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스마트패키징, 고엔트로피 합금

신재생에너지
태양전지, 해양에너지(발전기술 및 해양자원개발), 대형풍력발전시스템, 태양광발전(건물일체형 포함), 풍력발전, 수열발전, 바이오매스에너지(해양,농산,산림 포함),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시스템, 수소에너지(생산·운송·저장시설 포함), 지열발전

친환경발전
원전플랜트(4세대원자력발전), 초임계CO2발전시스템, 가스터빈 발전플랜트, 연료전지,
에너지하베스팅, 무탄소가스발전(수소, 암모니아)

에너지저장
정압식압축공기저장, 양성자전지, 배터리에너지관리체계, 에너지저장장치(ESS), 슈퍼커패시터, 레독스 흐름전지, 에너지저장클라우드, 냉온열에너지저장, 리튬메탈배터리, 에너지가스변환, 바이오배터리, 카르노배터리축열발전, 리튬이온배터리

에너지효율향상
가정용에너지관리, 독립형해수담수화, 동적송전용량측정기술, 제로에너지빌딩/친환경에너지타운, 지능형공조시스템, 스마트직류배전, 액화기술, 초고압직류송배전, 가상발전소, 폐열회수, 분산에너지시스템, 무선전력송신, 원격검침 인프라, 스마트그리드, 에탄분해법, 고온환원처리시스템, 섹터커플링

스마트팜
양어수경재배, 수직농법, 곤충사육, 정밀농업, 생물비료, 스마트종자 개발‧육종, 농업용미생물, 스마트 드론 파밍, 스마트양식

환경개선
정삼투, 대기오염관리, 통합환경관리서비스, 바이오필름수처리, 이산화탄소 포집/저장/배출원관리, 자원효율관리서비스, 친환경공조시스템, 토양정화, 친환경 패키징, 기름유출방제, 원전플랜트 해체, 유니소재화 제품

환경보호
전자폐기물 업사이클링, 막여과폐수처리(하폐수처리수재사용, 수생태계복원), 도시광산,
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소음관리, 재제조, 방사성폐기물 처리, 실내공기질 관리, 신재생발전시스템 재자원화, 폐자원에너지

생체조직재건
3D바이오프린팅, 바이오의약품생산시스템, 의료용 임플란트, 재생의료, 바이오/인공장기(전자기계식 인공장기 포함)

친환경소비재
개인맞춤형화장품, 미용식품(뉴트리코스메틱스), 고부가가치식품, 분자농업

차세대 치료
바이오시밀러, 경피약물전달, 개량신약, 면역치료, 치료용항체, 혁신신약, 장내미생물치료, 단백질치료법, 핵산 기반 백신 및 치료제

차세대 진단
암검진, 액체생체검사, 유전자 진단예측, 동반진단, 의료/바이오진단시스템(분자진단), 예측분석 디지털 프로그램(데이터기반 임상연구)

유전자연구고도화
초고속유전자, 염기서열분석, 유전자 활용치료

첨단영상진단
첨단의료영상진단기기, 인공지능 원격영상진단

맞춤형의료
기능성 스텐트, 스마트알약, 고령친화 의료기기, 신경자극조절술, 첨단의료기기

스마트 헬스케어
의료정보서비스, 맞춤형웰니스케어(모바일헬스)

첨단외과수술
영상가이드수술, 수술용레이저, 수술용로봇

차세대 무선통신미디어
4G/5G 통신, 가시광통신(Li-Fi), 6G 통신, 저전력블루투스, 방송통신인프라, 와이기그 무선통신, 차량간통신(V2X), RFID/USN, 다중입출력 안테나시스템(Massive MIMO), 사물인터넷(IoT, M2M 포함), 선박통신시스템, 뉴로모픽 기술, 밀리미터파(초고주파), 스마트시티

능동형컴퓨팅
인공지능, 동작인식 및 분석, 인간컴퓨터상호작용(HCI), 상황인지컴퓨팅, 디지털트윈, 스마트물류시스템, 에지컴퓨팅, 대화형 플랫폼, 초소형 위성용 통신 기술

실감형콘텐츠
확장현실, 스마트홈, 커넥티드 스마트글라스, 가상훈련시스템, 실감형콘텐츠 소프트웨어

가용성강화
블록체인, DRM/CAS,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PA), XaaS, 소프트웨어정의, 클라우드 컴퓨팅, 사이버보안, 인메모리컴퓨팅

지능형데이터분석
빅데이터, 지능형교통시스템, 예측 및 처방적 분석, 데이터시각화, 스몰데이터,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 재난안전관리시스템, 지능형 사회간접자본 유지관리

소프트웨어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게임엔진, 시맨틱기술

차세대 반도체
3D집적회로, AI칩, 차세대 메모리, 전력반도체소자, VCSE레이저, 반도체장비, 시스템반도체, 극자외선리소그래피, 자외선발광다이오드(UVLED)램프

감성형 인터페이스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초고화질 디스플레이, OLED디스플레이, 스크린리스 디스플레이,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MICRO-LED, 인간교감 소셜로봇

웨어러블 디바이스
플렉시블 전지, 웨어러블 전자기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고속충전, 플렉시블 전자소자, 무선충전, 투명전자소자

능동형조명
OLED(LED)조명, 스마트조명

차세대 컴퓨팅
차세대 데이터저장, 슈퍼컴퓨팅

감각센서
3차원이미지센서, 고해상도이미지센서, 바이오센서, 3차원터치기술, 햅틱기술, 전자피부, 후각센서

객체탐지
생체인식, 관성센서기술, 스마트센서, 나노센서, 센서융합, 음성인식/처리 반도체, 비접촉모니터링, 테라헤르츠센싱, 포터블 실시간 유전자센싱

광대역측정
광섬유센서, 라이더(LIDAR), 실시간 위치추적시스템

게임
온라인게임, 확장현실게임

영화/방송/음악/애니메이션/캐릭터
영상콘텐츠, 케이팝(K-pop), 웹툰, 애니메이션 콘텐츠, 특수효과

창작공연전시
무대기술, 하이브리드형 MICE

광고
애드테크

디자인
디지털/콘텐츠 디자인, 제품/시각정보 디자인, 서비스/경험 디자인

고부가서비스
에듀테크, 글로벌의료서비스(글로벌헬스케어), 주문형 맞춤 보안, 모바일서비스, 제품서비스, 메타버스, 공유경제 플랫폼

핀테크
송금·결제, 금융소프트웨어, 금융플랫폼, 금융데이터분석

* 혁신성장분야(4차 개정)는 9개 테마, 46개 분야, 296개 품목으로 구성
* 혁신성장분야 해당여부는 중진공 기술전문가의 현장 확인 후 판단합니다.

PDF파일로 [참고1] 혁신성장분야 세부 분야와 업종 · 품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혁신성장분야 해설서를 참고하세요.


1-1 초격차·신산업 분야 (참고1-1)

[참고1-1] 초격차·신산업 분야

시스템 반도체
로직·아날로그 IC, 마이크로 컴포넌트

바이오·헬스
의약품, 임상기술, 의료기기

미래 모빌리티
전기·수소차, 자율주행

친환경·에너지
자원순환, CCUS(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 친환경 신소재, 신재생, 이차전지, 에너지 절감

로봇
지능형·서비스 로봇, 스마트 시스템

빅데이터·AI
컴퓨터비전, 빅데이터 수집 및 활용, 고객데이터플랫폼, AIoT

사이버보안·네트워크
복호화, 블록체인, 5G·6G, 무선통신, 클라우드, 메타버스, 모바일 엣지컴퓨팅

우주항공·해양
위성, 발사체, 기지국, 비행체, 첨단선박

차세대원전
원자로, 원전 재료, 안전기술

양자기술
양자컴퓨터, 양자센서, 양자통신

인공지능. 빅테이터. 5G+. 블록체인. 서비스플랫폼. 실감형콘텐츠. 지능형 로봇. 스마트제조. 시스템 반도체. 자율주행차. 전기수소차. 바이오. 의료기기. 기능성 식품. 드론·개인이동수단. 미래형 선박. 재난/안전. 스마트시티. 스마트홈. 신재생에너지. 이차전지. CCUS(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 자원순환 및 에너지 재활용

* 초격차·신산업 분야 해당여부는 중진공 기술전문가의 현장 확인 후 판단

PDF 파일 [참고1-1] 초격차·신산업 분야


2 그린분야 (참고2)

[참고2] 그린분야

(출처 : 한국환경산업협회 환경산업통계조사보고서)

자원순환관리
폐기물 관리, 폐자원 에너지화 제조업·관련 서비스업
재생용 가공원료 및 재활용 제품 제조업·유통업·서비스업
자원순환 관련 분석, 자료수집 및 평가 서비스업
물관리
오·폐수관리 기기 및 제품 제조업·관련 서비스업
수도사업 관련 제조업·서비스업
물 관련 분석, 자료수집 및 평가 서비스업
환경복원 및 복구
토양, 지표수, 지하수 개선 및 정화 제조업·관련 서비스업
환경복원 및 복구 관련 분석, 자료수집 및 평가 서비스업
기후대응
기후변화 대응 제조업·서비스업
기후대응 관련 분석, 자료수집 및 평가 서비스업
대기관리
대기오염 통제 기기 제조업·관련 서비스업
실내공기질 통제 기기 제조업·관련 서비스업
대기 관련 분석, 자료수집 및 평가 서비스업
환경 안전·보건
소음 및 진동 저감장치 제조업
환경보건 대응 제조업·서비스업
환경안전·보건 관련 분석, 자료수집 및 평가 서비스업
지속가능 환경·자원
열·에너지 절약 및 회수 기기 제조업·관련 서비스업
생물자원 관리, 보전기기 제조업·관련 서비스업
산림 관리 기기 제조업·관련 서비스업
산림 관리 및 유지 서비스업
생물다양성 및 경관 보호기기 제조업·관련 서비스업
생물다양성 및 바이오관련 생산업‧제조업·서비스업(생물종자‧종묘산업)
지속가능 환경·자원 관련 분석, 자료수집 및 평가 서비스업
환경지식·정보·감시
환경감시, 분석 및 측정장치 제조업·관련 서비스업
환경연구개발 관련 서비스업
환경 관련 엔지니어링, 평가 및 컨설팅 서비스업
환경 관련 법무, 교육 서비스업
환경 지식·정보·감시 관련 분석, 자료수집 및 평가 서비스업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제32조 및 「녹색인증제 운영요령」제27조에 따른 ‘녹색기술인증’ 보유 기업

* 분야 : 10개 대분류, 93개 중분류, 428개 소분류로 구성

– 신재생에너지, 탄소저감, 첨단수자원, 그린IT, 그린차량선박·수송기계, 첨단그린주택·도시, 신소재, 청정생산, 친환경농수산식품 및 시스템, 환경보호 및 보전 분야

** 녹색기술인증 현황 및 범위의 세부사항은 www.greencertif.or.kr 참조

(출처 : 혁신성장정책금융협의회 혁신성장공동기준)

* 혁신성장 분야(4차 개정) 7개 테마, 15개분야, 82개 품목과 연계

차세대 동력장치
첨단철도, 전기차/하이브리드, 전기차/하이브리드 인프라/서비스, 고효율/친환경 선박, 스마트모빌리티, 수소전기자동차, 수소전기자동차 인프라/서비스

바이오소재
생물유래소재

신재생에너지
태양전지, 태양광발전(건물일체형 포함), 바이오매스에너지(해양,농산, 산림 포함), 지열발전, 해양에너지(발전기술 및 해양자원개발), 풍력발전,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시스템, 대형풍력발전시스템, 수열냉난방, 수소에너지(생산·운송·저장시설 포함)

친환경발전
연료전지, 무탄소가스발전(수소, 암모니아), 초임계CO2발전시스템, 에너지하베스팅, 가스터빈 발전플랜트

에너지저장
정압식압축공기저장, 에너지저장장치(ESS), 에너지저장클라우드, 에너지가스변환, 리튬이온배터리, 양성자전지, 슈퍼커패시터, 냉온열에너지저장, 바이오배터리, 배터리에너지관리체계, 레독스 흐름전지, 리튬메탈배터리, 카르노배터리축열발전

에너지효율향상
가정용에너지관리, 제로에너지빌딩/친환경에너지타운, 독립형해수담수화, 폐열회수, 원격검침 인프라, 지능형공조시스템, 분산에너지시스템, 스마트그리드, 가상발전소, 고온환원처리시스템, 섹터커플링

스마트팜
농업용미생물, 생물비료, 곤충사육, 스마트종자 개발·육종

환경개선
정삼투, 바이오필름수처리, 친환경공조시스템, 기름유출방제, 대기오염관리, 이산화탄소 포집/저장/배출원관리, 토양정화, 원전플랜트 해체, 통합환경관리서비스, 자원효율관리서비스, 친환경 패키징, 유니소재화 제품

환경보호
전자폐기물 업사이클링, 플라스틱 업사이클링, 방사성폐기물 처리, 폐자원에너지, 막여과폐수처리(하폐수처리수재사용, 수생태계복원), 소음관리, 실내공기질 관리, 도시광산, 신재생발전시스템 재자원화,재제조

친환경소비재
개인맞춤형화장품

차세대치료
개량신약, 혁신신약, 핵산 기반 백신 및 치료제

실감형콘텐츠
스마트홈

지능형데이터분석
재난안전관리시스템

차세대 반도체
전력반도체소자

능동형조명
OLED(LED)조명, 스마트조명

PDF 파일 [참고 2] 그린분야 (2023).pdf


3 비대면분야 (참고3)

[참고3] 비대면분야

웨어러블
손목시계형 혈압기, 웨어러블 심전도 패치

원격의료(진단, 치료), 병원·의료 관련 플랫폼
AI기반 의료영상진단기, 원격의료 시스템,병원예약, 원격 심리상담

온라인 교육시스템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플랫폼, 교육용 네트워크 플랫폼, 강의자-사용자 매칭형 교육 플랫폼

온라인 교육컨텐츠
교육용 전자책, 외국어 및 코딩 등 온라인 교육강의, 유투브 키즈강의 제작

원격근무,화상시스템
영상회의 플랫폼, 협업툴

온라인 홍보, 고객응대
AI활용 맞춤형 추천, 온라인 홍보, 챗봇, 콜센터 시스템

스마트 금융
P2P 대출, 가상화폐 중개, 해외송금, 결제대행,로보어드바이저, 전자결제대행서비스

온라인 소비재(식품 등) 제조판매
반조리 식품, 밀키트 등 식품 제조하여 온라인 판매 또는 온라인 입점

생활중개 플랫폼
배달앱, 일자리 중개, 가사서비스 중개, 부동산 중개, 중고거래 중개 등

스마트 상점
매장 고객관리, 무인스토어 앱, 자판기

전자상거래
공산품, 신제품 판매, 신선식품 유통·판매

게임
게임, e스포츠, 게임 유통·마케팅

콘텐츠
MCN 콘텐츠, 연예인 매니지먼트, 공연·영화·드라마·애니·음반 기획 및 제작, 도서제공 플랫폼, 동영상 편집프로그램, 오디오 스트리밍, OTT, 웹툰, 웹소설 등

소통
대화형·게시형 SNS

여행·숙박·장거리이동
여행, 숙박예약, 렌터카 등

물류 플랫폼, 배송대행
물류관리 플랫폼, 커머스 배송대행, 물류 효율화를 위한 포장재 개발 등

드론·무인기, 자율차
드론 제작, 드론 운영프로그램, 자율차 프로그램

빅데이터, AI
AI를 통한 음성생성 프로그램

가상현실 (AR/VR)
AR칫솔, 스마트줄자, 태아영상 VR체험

클라우드
클라우드 서비스, 출퇴근 관리 서비스 SaaS,인터넷 호스팅 서비스 등

로봇
로봇 자동화, 애완 로봇

사물인터넷(IoT)
IoT기저귀, 스마트팜 솔루션, 음성인식,전자정보표시기 등

지능형/차세대 반도체
반도체 부품, 반도체 장비, 반도체 디자인 하우스 등

5G
5G 안테나·케이블, 통신장비, 무선통신 부품 등

정보보안
사이버 백신, 보안칩, 보안 모듈 및 중계

* 비대면 분야 해당여부는 중진공 기술전문가의 현장 확인 후 판단

PDF 파일 [참고 3] 비대면분야 (2023).pdf 세부 분야에 대한 품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뿌리산업 (참고4)

24131주철관 제조업
24311선철주물 주조업
24312강주물 주조업
24321알루미늄주물 주조업
24322동주물 주조업
24329기타 비철금속 주조업
29230금속 주조 및 기타 야금용 기계 제조업 中
주물주조기계
29294주형 및 금형 제조업
24121열간 압연 및 압출 제품 제조업
24122냉간 압연 및 압출 제품 제조업
24123철강선 제조업
24221동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
24222알루미늄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
24229기타 비철금속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
25912금속단조제품 제조업
25913자동차용 금속 압형제품 제조업
25914그 외 금속 압형제품 제조업
29224금속 성형기계 제조업 中 액압 프레스,
기계 프레스, 금속 단조기, 금속 인발기,
나사 전조기, 금속선 가공기,
기타 금속성형기계
25921금속 열처리업
29150산업용 오븐, 노 및 노용 버너 제조업 中
공업용로, 전기로
25922도금업
25923도장 및 기타 피막처리업
25929그외 기타 금속가공업
26221인쇄회로기판용 적층판 제조업
26222경성 인쇄회로기판 제조업
26223연성 및 기타 인쇄회로기판 제조업
20499그 외 기타 분류 안된 화학제품 제조업 中
금속표면처리용 화합물
28909그 외 기타 전기장비 제조업 中
전기도금 및 전기분해용 기기
29299그 외 기타 특수 목적용 기계 제조업 中
금속 표면처리기
24132강관 제조업
24133강관 가공품 및 관 연결구류 제조업
24290기타 1차 비철금속 제조업
25122금속탱크 및 저장용기 제조업
25123압축 및 액화 가스용기 제조업
25130핵반응기 및 증기발생기 제조업
26224전자부품 실장기판 제조업
26291전자축전기 제조업
26292전자저항기 제조업
26293전자카드 제조업
26294전자코일, 변성기 및
기타 전자 유도자 제조업
26299그 외 기타 전자부품 제조업
30121승용차 및 기타 여객용 자동차 제조업
30122화물자동차 및 특수목적용 자동차 제조업
30201차체 및 특장차 제조업
30202자동차 구조 및 장치 변경업
30203트레일러 및 세미트레일러 제조업
30320자동차 차체용 신품 부품 제조업
31111강선 건조업
31112합성수지선 건조업
31113기타 선박 건조업
31114선박 구성 부분품 제조업
31201기관차 및 기타 철도차량 제조업
31202철도차량 부품 및 관련 장치물 제조업
31311유인 항공기, 항공우주선 및
보조장치 제조업
31312무인 항공기 및 무인 비행장치 제조업
31321항공기용 엔진 제조업
31322항공기용 부품 제조업
31910전투용 차량 제조업
25995피복 및 충전 용접봉 제조업 中 용접봉
27216산업 처리공정 제어장비 제조업 中
기타 산업처리공정 제어장비
28909그 외 기타 전기장비 제조업 中
아크용접기,저항용접기,기타 전기용접기
29199그 외 기타 일반 목적용 기계 제조업 中
가스용접기 및 절단기, 기타 용접기
29271반도체 제조용 기계 제조업 中
반도체 조립 장비, 칩마운터(Chip mounter)

* 위 표에 포함된 업종이라도 주조, 금형, 소성가공, 용접, 표면처리, 열처리 등의 공정기술을 활용하지 아니한 업종은 제외

22191고무 패킹류 제조업
22213플라스틱 시트 및 판 제조업
22241운송장비 조립용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2249기타 기계ㆍ장비 조립용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9292고무, 화학섬유 및 플라스틱 성형기 제조업 中
플라스틱 사출 성형기, 플라스틱 압출 성형기,
진공 및 열 성형기, 기타 플라스틱 제조기계,
고무 가공기계
25924절삭가공 및 유사 처리업
29221전자 응용 절삭기계 제조업 中
레이저 가공기, 방전 가공기,
기타 전자응용 절삭기계, 머시닝센터
29223금속 절삭기계 제조업 中 머시닝센터, 전용기,
수치제어식선반, 범용선반, 드릴링기, 보링기,
밀링기, 탭핑기, 연삭기, 기어절삭기,
톱기계(금속용), 기타 금속절삭가공기계
23112안전유리 제조업
23122디스플레이 장치용 유리 제조업
25911분말야금제품 제조업
29222디지털 적층 성형기계 제조업 中
디지털 적층 성형기계
17124적층 합성 및 특수 표면처리 종이 제조업
22212플라스틱 필름 제조업
22292플라스틱 적층, 도포 및
기타 표면처리 제품 제조업
29291펄프 및 종이 가공용 기계 제조업 中
기타종이가공기계
29280산업용 로봇 제조업
26295전자감지장치 제조업
58222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72129기타 엔지니어링 서비스업

<비고>
1. 분류번호, 업종명 및 품목명은 「통계법」 제22조에 따라 통계청장이 고시하는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른다.
2. 위 표에 포함된 뿌리기술 활용업종이나 뿌리기술에 활용되는 장비 제조업종이라도 원재료를 1차 성형ㆍ가공하여 잉곳(ingot), 판, 봉, 관 등 1차 소재를 생산하는 업종은 제외한다.
3. 차세대 공정산업 중 지능화 공정산업은 기반 공정산업 또는 소재다원화 공정산업과 연계되거나 결합되어 활용하는 산업으로 한정한다.
4.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위 표에 열거된 뿌리산업의 업종명 또는 품목명 외에 뿌리산업에 해당하는 업종명 또는 품목명을 추가로 정하여 고시할 수 있다.

「뿌리산업 진흥과 첨단화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2에 따른 뿌리산업의 범위(제3조 관련)(2021.12.16. 개정)

PDF 파일 [참고 4] 뿌리산업 (2023).pdf


4-1 뿌리기술 (참고4-1)

「뿌리산업 진흥과 첨단화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1에 따른 뿌리기술의 범위(제2조 관련)(2021.12.16. 개정)

기술부문전문분야
주조사형주조,금형주조,다이캐스팅,
정밀주조,연속주조,저압주조,
소실모형 주조,특수주조
금형사출성형금형,다색다중성형금형,
블로우성형금형,복합성형금형,
프레스성형금형,프로그레시브성형금형,
파인블랭킹금형,특수성형금형
소성가공단조,압연,압출,판재성형,특수성형
열처리전경화열처리,국부열처리,
침탄열처리,질화열처리,복합열처리,
비철·특수금속열처리
표면처리전기도금,무전해도금,양극산화,
화성처리,도장,표면경화,스퍼터링,
화학기상증착
용접아크용접,저항용접,특수용접,
브레이징,칩레벨 접합,
보드레벨 접합,구조용 접합
기술부문전문분야
사출·프레스고분자 가공기술,고분자 성형기술
복합재료 제조공정 기술
정밀가공절삭가공,연삭가공,연마가공,
광에너지응용가공,
전기에너지응용가공,
화학에너지응용가공
적층제조분말가공기술,용용기술,
기타 적층 관련기술
산업용 필름
및 지류공정
고분자 박막제조기술,
고분자 코팅제조기술,제지공정
기술부문전문분야
로봇로봇생산자동화기술,
로봇 관련 정보기술·소프트웨어,
자동화기계 관련 정보기술·소프트웨어
산업지능형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솔루션,생산관리 서비스,
계량분석 서비스,시험관리 서비스,
검사관리 서비스,분석관리 서비스,
품질관리 서비스
센서계측기술,센서기술,시스템통합화기술
엔지니어링
설계
설계기술,생산공정모델링 서비스,
시뮬레이션 서비스,
컴퓨터이용설계(CAD) 관련소프트웨어,
컴퓨터이용제조(CAM) 관련소프트웨어,
주조 관련 소프트웨어,
용접 관련 소프트웨어,
소성가공 관련 소프트웨어,
기타 뿌리기술 관련 소프트웨어

<비고>
1. 뿌리기술 해당여부는 중진공 기술전문가의 현장 확인 후 판단
2. 차세대 공정기술 중 지능화 공정기술은 기반 공정기술 또는 소재다원화 공정기술과 연계되거나 결합되어 활용하는 기술로 한정한다.

PDF 파일 [참고 4-1] 뿌리기술 (2023).pdf


5 소재·부품·장비 산업 (참고5)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 시행규칙」별표 1에 따른 “소재․부품․장비” 관련 산업(2020.4.1. 시행)

1) 소재·부품의 범위

적용범위(소재ㆍ부품)KSIC10
면 방적사
모 방적사
화학섬유 방적사
연사 및 가공사
기타 방적사
면직물
모직물
화학섬유직물
특수직물 및 기타 직물
편조 원단
솜 및 실 염색 가공품
직물, 편조 원단 및 의복류 염색 가공품(의복 및 직물 제품에 염색한 것은 제외한다)
날염 가공품(의복 및 직물 제품에 날염한 것은 제외한다)
섬유제품 기타 정리 및 마무리 가공품
부직포 및 펠트
특수사 및 코드직물
표면처리 및 적층직물
그 외 기타 분류 안된 섬유제품
13101
13102
13103
13104
13109
13211
13212
13213
13219
13300
13401
13402
 
13403
 
13409
13992
13993
13994
13999
적용범위(소재ㆍ부품)KSIC10
인쇄용 및 필기용 원지
위생용 원지
기타 종이 및 판지
17122
17125
17129
적용범위(소재ㆍ부품)KSIC10
석유화학계 기초 화학 물질
석탄화학계 화합물 및 기타 기초 유기화학 물질
산업용 가스
기타 기초 무기화학 물질(핵연료 가공품은 제외한다)
무기 안료용 금속 산화물 및 관련 제품
염료, 조제 무기 안료, 유연제 및 기타 착색제
합성고무
합성수지 및 기타 플라스틱 물질
혼성 및 재생 플라스틱 소재 물질
화학 살균ㆍ살충제 및 농업용 약제(가정용 화학 살균 및 살충제는 제외한다)
생물 살균ㆍ살충제 및 식물보호제(가정용 생물 살균 및 살충제는 제외한다)
일반용 도료 및 관련제품
인쇄 잉크 및 회화용 물감(그림물감은 제외한다)
계면활성제
감광 재료 및 관련 화학제품
접착제 및 젤라틴
그 외 기타 분류 안된 화학제품
합성섬유
재생섬유
20111
20119
20121
20129
20131
20132
20201
20202
20203
20321
20322
20411
20413
20421
20491
20493
20499
20501
20502
적용범위(소재ㆍ부품)KSIC10
의약용 화합물 및 항생물질
생물학적 제제
21101
21102
적용범위(소재ㆍ부품)KSIC10
타이어 및 튜브
고무 패킹류
산업용 그 외 비경화 고무제품
그 외 기타 고무제품(고무매트, 고무보트, 기타 고무제품은 제외한다)
플라스틱 선, 봉, 관 및 호스
플라스틱 필름
플라스틱 시트 및 판
플라스틱 합성피혁
운송장비 조립용 플라스틱제품
기타 기계ㆍ장비 조립용 플라스틱제품
그 외 기타 플라스틱 제품(주방용품, 가구용 제품, 헬멧, 사무 및 문구용품, 기타플라스틱 제품은 제외한다)
22111
22191
22192
22199
22211
22212
22213
22214
22241
22249
22299
적용범위(소재ㆍ부품)KSIC10
판유리
안전유리
기타 판유리 가공품
1차 유리제품, 유리섬유 및 광학용 유리
디스플레이 장치용 유리
기타 산업용 유리제품
정형 내화 요업제품
부정형 내화 요업제품
위생용 및 산업용 도자기(세면기, 변기, 욕조, 기타 위생도기제품은 제외한다)
석회 및 플라스터(플라스터는 제외한다)
아스팔트 콘크리트 및 혼합제품
연마재
비금속광물 분쇄물
암면 및 유사 제품
탄소섬유
그 외 기타 분류 안된 비금속 광물제품(아스팔트 성형제품은 제외한다)
23111
23112
23119
23121
23122
23129
23211
23212
23222
23312
23991
23992
23993
23994
23995
23999
적용범위(소재ㆍ부품)KSIC10
합금철
열간 압연 및 압출제품
냉간 압연 및 압출제품
철강선
주철관
강관
강관 가공품 및 관 연결구류
도금, 착색 및 기타 표면 처리 강재
그 외 기타 1차 철강
동 제련, 정련 및 합금
알루미늄 제련, 정련 및 합금
연 및 아연 제련, 정련 및 합금
기타 비철금속 제련, 정련 및 합금
동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알루미늄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기타 비철금속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기타 1차 비철금속
선철 주물 주조제품
강 주물 주조제품
알루미늄 주물 주조제품
동 주물 주조제품
기타 비철금속 주조제품
24113
24121
24122
24123
24131
24132
24133
24191
24199
24211
24212
24213
24219
24221
24222
24229
24290
24311
24312
24321
24322
24329
적용범위(소재ㆍ부품)KSIC10
산업용 난방보일러 및 방열기
금속 탱크 및 저장 용기
압축 및 액화 가스 용기
핵반응기 및 증기보일러
무기 및 총포탄(부품에 한정한다)
분말 야금제품
금속 단조제품
자동차용 금속 압형제품
그 외 금속 압형제품(가정용 압형제품은 제외한다)
금속 열처리제품
절삭 가공 및 유사 처리품
그 외 기타 금속 가공품
톱 및 호환성 공구
볼트 및 너트류
그 외 금속 파스너 및 나사제품
금속 스프링
금속선 가공제품(와이어로프에 한정한다)
피복 및 충전 용접봉
그 외 기타 분류 안된 금속 가공제품(부품에 한정한다)
25121
25122
25123
25130
25200
25911
25912
25913
25914
25921
25924
25929
25934
25941
25942
25943
25944
25995
25999
적용범위(소재ㆍ부품)KSIC10
메모리용 전자집적회로
비메모리용 및 기타 전자집적회로
발광 다이오드
기타 반도체 소자
액정 표시장치
유기 발광 표시장치
기타 표시장치
인쇄회로기판용 적층판
경성 인쇄회로기판
연성 및 기타 인쇄회로기판
전자 부품 실장기판
전자 축전기
전자 저항기
전자카드
전자코일, 변성기 및 기타 전자 유도자
전자 감지장치
그 외 기타 전자 부품
기억 장치(휴대용 저장장치, SSD는 제외한다)
컴퓨터 모니터(컴퓨터 본체와 분리되는 모니터는 제외한다)
컴퓨터 프린터(부품에 한정한다)
기타 주변 기기(부품에 한정한다)
유선 통신장비(부품에 한정한다)
방송장비(부품에 한정한다)
이동 전화기(부품에 한정한다)
기타 무선 통신장비(부품에 한정한다)
텔레비전(부품에 한정한다)
비디오 및 기타 영상기기(부품에 한정한다)
라디오, 녹음 및 재생기기(부품에 한정한다)
기타 음향기기(부품에 한정한다)
마그네틱 및 광학 매체(부품에 한정한다)
26111
26112
26121
26129
26211
26212
26219
26221
26222
26223
26224
26291
26292
26293
26294
26295
26299
26321
26322
26323
26329
26410
26421
26422
26429
26511
26519
26521
26529
26600
적용범위(소재ㆍ부품)KSIC10
방사선 장치(부품에 한정한다)
전기식 진단 및 요법기기(부품에 한정한다)
치과용 기기(부품에 한정한다)
정형 외과용 및 신체 보정용 기기(부품에 한정한다)
안경 및 안경렌즈(부품에 한정한다)
그 외 기타 의료용 기기(부품에 한정한다)
레이더, 항행용 무선 기기 및 측량 기구(부품에 한정한다)
전자기 측정, 시험 및 분석 기구(부품에 한정한다)
물질 검사, 측정 및 분석 기구(부품에 한정한다)
속도계 및 적산계기(부품에 한정한다)
기기용 자동 측정 및 제어장치(부품에 한정한다)
산업 처리공정 제어장비(부품에 한정한다)
기타 측정, 시험, 항해, 제어 및 정밀기기(부품에 한정한다)
광학 렌즈 및 광학 요소
사진기, 영사기 및 관련 장비(부품에 한정한다)
기타 광학 기기(부품에 한정한다)
시계 및 시계 부품(시계 부품에 한정한다)
27111
27112
27191
27192
27193
27199
27211
27212
27213
27214
27215
27216
27219
27301
27302
27309
27400
적용범위(소재ㆍ부품)KSIC10
전동기 및 발전기
변압기
방전 램프용 안정기
에너지 저장장치
기타 전기 변환장치
전기회로 개폐, 보호 장치
전기회로 접속장치
배전반 및 전기 자동제어반
일차전지
축전지
광섬유 케이블
기타 절연선 및 케이블
절연 코드세트 및 기타 도체
전구 및 램프(부품에 한정한다)
운송장비용 조명장치
일반용 전기 조명장치(부품에 한정한다)
전시 및 광고용 조명장치(부품에 한정한다)
기타 조명장치(부품에 한정한다)
주방용 전기 기기(부품에 한정한다)
가정용 전기 난방기기(부품에 한정한다)
기타 가정용 전기 기기(부품에 한정한다)
가정용 비전기식 조리 및 난방 기구(부품에 한정한다)
전기 경보 및 신호장치(부품에 한정한다)
전기용 탄소제품 및 절연제품
교통 신호장치(부품에 한정한다)
그 외 기타 전기장비(부품에 한정한다)
28111
28112
28113
28114
28119
28121
28122
28123
28201
28202
28301
28302
28303
28410
28421
28422
28423
28429
28511
28512
28519
28520
28901
28902
28903
28909
적용범위(소재ㆍ부품)KSIC10
내연기관
기타 기관 및 터빈
유압 기기
액체 펌프
기체 펌프 및 압축기
탭, 밸브 및 유사 장치
구름베어링
기어 및 동력전달장치
산업용 오븐, 노 및 노용 버너(부품에 한정한다)
산업용 트럭 및 적재기(부품에 한정한다)
승강기(부품에 한정한다)
컨베이어 장치(부품에 한정한다)
기타 물품 취급장비(부품에 한정한다)
산업용 냉장 및 냉동장비(부품에 한정한다)
공기 조화장치(부품에 한정한다)
산업용 송풍기 및 배기장치(부품에 한정한다)
기체 여과기
액체 여과기
증류기, 열 교환기 및 가스 발생기
사무용 기계 및 장비(부품에 한정한다)
일반 저울(부품에 한정한다)
용기 세척, 포장 및 충전기(부품에 한정한다)
분사기 및 소화기(부품에 한정한다)
동력식 수지 공구(부품에 한정한다)
그 외 기타 일반 목적용 기계(부품에 한정한다)
농업 및 임업용 기계(부품에 한정한다)
전자 응용 절삭기계(부품에 한정한다)
디지털 적층 성형기계(부품에 한정한다)
금속 절삭기계(부품에 한정한다)
금속 성형기계(부품에 한정한다)
기타 가공 공작기계(부품에 한정한다)
금속 주조 및 기타 야금용 기계(부품에 한정한다)
건설 및 채광용 기계장비(부품에 한정한다)
광물 처리 및 취급장비(부품에 한정한다)
음ㆍ식료품 및 담배 가공기계(부품에 한정한다)
산업용 섬유 세척, 염색, 정리 및 가공 기계(부품에 한정한다)
기타 섬유, 의복 및 가죽 가공기계(부품에 한정한다)
반도체 제조용 기계(부품에 한정한다)
디스플레이 제조용 기계(부품에 한정한다)
산업용 로봇(부품에 한정한다)
펄프 및 종이 가공용 기계(부품에 한정한다)
고무, 화학섬유 및 플라스틱 성형기(부품에 한정한다)
인쇄 및 제책용 기계(부품에 한정한다)
주형 및 금형
그 외 기타 특수 목적용 기계(부품에 한정한다)
29111
29119
29120
29131
29132
29133
29141
29142
29150
29161
29162
29163
29169
29171
29172
29173
29174
29175
29176
29180
29191
29192
29193
29194
29199
29210
29221
29222
29223
29224
29229
29230
29241
29242
29250
29261
29269
29271
29272
29280
29291
29292
29293
29294
29299
적용범위(소재ㆍ부품)KSIC10
자동차용 엔진
자동차 엔진용 신품 부품
자동차 차체용 신품 부품
자동차용 신품 동력 전달장치
자동차용 신품 전기장치
자동차용 신품 조향장치 및 현가장치
자동차용 신품 제동장치
자동차용 신품 의자(부품에 한정한다)
그 외 자동차용 신품 부품
30110
30310
30320
30331
30332
30391
30392
30393
30399
적용범위(소재ㆍ부품)KSIC10
선박 구성 부분품
철도 차량 부품 및 관련 장치물
항공기용 엔진
항공기용 부품
전투용 차량(부품에 한정한다)
모터사이클(부품에 한정한다)
자전거 및 환자용 차량(부품에 한정한다)
31114
31202
31321
31322
31910
31920
31991
적용범위(소재ㆍ부품)KSIC10
시스템 소프트웨어(부품에 결합되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에 한정한다)
응용 소프트웨어(부품에 결합되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에 한정한다)
58221

58222

<비고>
1. 부품은 부분품을 포함한다.
2. 동일한 한국표준산업분류에 속하는 것 중에서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완제품은 소재ㆍ부품의 적용범위에서 제외한다.
3. 제2호에도 불구하고 상품을 제조할 때 원재료 또는 중간생산물로 사용됨과 동시에 완제품으로 사용되는 것은 부품으로 본다.

2) 장비의 범위(제2조 관련)

2. 장비의 범위(제2조 관련)

적용범위(소재ㆍ부품)KSIC10
전자기 측정, 시험 및 분석 기구(부품은 제외한다)
물질 검사, 측정 및 분석 기구(부품은 제외한다)
산업 처리공정 제어장비(부품은 제외한다)
기타 측정, 시험, 항해, 제어 및 정밀 기기(부품은 제외한다)
기타 광학 기기(부품은 제외한다)
27212
27213
27216
27219
27309
적용범위(소재ㆍ부품)KSIC10
그 외 기타 전기장비(부품은 제외한다)28909
적용범위(소재ㆍ부품)KSIC10
산업용 오븐, 노 및 노용 버너(부품은 제외한다)
승강기(부품은 제외한다)
컨베이어 장치(부품은 제외한다)
기타 물품 취급장비(부품은 제외한다)
산업용 냉장 및 냉동장비(부품은 제외한다)
공기 조화장치(부품은 제외한다)
용기 세척, 포장 및 충전기(부품은 제외한다)
그 외 기타 일반 목적용 기계(부품은 제외한다)
전자 응용 절삭기계(부품은 제외한다)
디지털 적층 성형기계(부품은 제외한다)
금속 절삭기계(부품은 제외한다)
금속 성형기계(부품은 제외한다)
기타 가공 공작기계(부품은 제외한다)
금속 주조 및 기타 야금용 기계(부품은 제외한다)
광물 처리 및 취급장비(부품은 제외한다)
음ㆍ식료품 및 담배 가공기계(부품은 제외한다)
산업용 섬유 세척, 염색, 정리 및 가공 기계(부품은 제외한다)
기타 섬유, 의복 및 가죽 가공기계(부품은 제외한다)
반도체 제조용 기계(부품은 제외한다)
디스플레이 제조용 기계(부품은 제외한다)
산업용 로봇(부품은 제외한다)
펄프 및 종이 가공용 기계(부품은 제외한다)
고무, 화학섬유 및 플라스틱 성형기(부품은 제외한다)
인쇄 및 제책용 기계(부품은 제외한다)
그 외 기타 특수 목적용 기계(부품은 제외한다)
29150
29162
29163
29169
29171
29172
29192
29199
29221
29222
29223
29224
29229
29230
29242
29250
29261
29269
29271
29272
29280
29291
29292
29293
29299

<비고>
1. 장비는 소재ㆍ부품을 생산하거나 소재ㆍ부품을 사용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장치 또는 설비로 한정한다.
2. 장비 관련 부품은 장비범위가 아닌 소재ㆍ부품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본다.

PDF 파일 [참고 5] 소재·부품·장비 산업 (2023).pdf


6 지역특화(주력)산업 (참고6)

[참고6] 지역특화(주력)산업

지역주력 산업
부산첨단융합기계부품, 지능정보서비스, 친환경미래에너지, 라이프케어
대구고효율에너지시스템, 디지털의료헬스케어, 수송기기/기계소재부품
광주지능형가전, 광융합, 스마트금형, 디지털생체의료
대전차세대 무선통신융합, 바이오메디컬, 지능형로봇
울산저탄소에너지, 스마트조선, 그린모빌리티, 미래화학신소재
강원천연물바이오소재, ICT융합헬스, 세라믹복합신소재
충북바이오헬스, 지능형IT부품, 수송기계소재부품
충남스마트휴먼바이오, 친환경모빌리티, 차세대디스플레이
전북스마트농생명·식품, 미래지능형기계, 탄소·복합소재, 조선해양·에너지
전남저탄소지능형소재부품, 그린에너지, 첨단운송기기부품, 바이오헬스케어
경북지능형디지털기기, 첨단신소재부품가공, 라이프케어뷰티, 친환경융합섬유소재
경남첨단항공, 스마트기계, 나노융합스마트부품, 항노화메디컬
제주스마트관광, 그린에너지, 청정바이오
세종스마트시티, 스마트그린융합부품소재

PDF 파일 [참고 6] 지역특화(주력)산업 (2023).pdf


6-1 지역신산업 (참고6-1)

[참고6-1] 지역신산업

지역신 산 업
부산블록체인, 해양모빌리티, 암모니아 친환경에너지
대구스마트 웰니스, 이동식 협업로봇
광주그린에너지 ESS발전, 무인 저속 특장차
대전바이오 메디컬
울산수소 그린 모빌리티, 이산화탄소 자원화, 게놈서비스산업
강원액화수소산업, 정밀의료산업, 디지털 헬스케어
충북그린수소산업, 스마트 안전제어
충남수소에너지, 탄소저감 건설소재
전북친환경 자동차, 탄소 융·복합산업
전남e-모빌리티, 개조전기차, 에너지 신산업
경북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용 헴프, 전기차 차세대 무선충전, 스마트 그린물류
경남무인선박, 5G 차세대 스마트공장,
암모니아 혼소 연료추진시스템 선박
제주전기차 충전서비스
세종자율주행실증

PDF 파일 [참고 6-1] 지역신산업 (2023).pdf


7 지식서비스산업 (참고7)

「산업발전법 시행령」별표 2에 따른 지식서비스산업의 범위(법 제3조제1항 관련) (2022.7.5. 개정)

[참고7] 지식서비스산업

KSIC10해당 업종
3900환경정화 및 복원업
46도매 및 상품중개업
(단, 중점지원분야에 해당하는 국내 생산품을 유통하는 경우에 한함)
47911전자상거래 소매 중개업
52991통관 대리 및 관련서비스업
581서적, 잡지 및 기타 인쇄물 출판업
582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5911영화, 비디오물 및 방송프로그램 제작업
59120영화, 비디오물 및 방송프로그램 제작관련 서비스업
59201음악 및 기타 오디오물 출판업
612전기 통신업
620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
63정보 서비스업
70연구개발업
713광고업
714시장조사 및 여론조사업
71531경영컨설팅업
72건축 기술, 엔지니어링 및 기타 과학기술 서비스업
732전문 디자인업
73902번역 및 통역서비스업
73903사업 및 무형 재산권 중개업
73904물품 감정, 계량 및 견본 추출업
73909그 외 기타 분류 안된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74100사업시설 유지·관리 서비스업
75320보안 시스템 서비스업
75991콜센터 및 텔레마케팅 서비스업
75992전시, 컨벤션 및 행사 대행업
75994포장 및 충전업
85503온라인 교육학원
(기술 및 직업훈련 교육을 제공하는 경우에만 해당)
8566기술 및 직업 훈련 학원

* 단, ‘산업발전법 시행령’ 별표 2 해당업종 중 융자제외 업종은 제외

PDF 파일 [참고 7] 지식서비스산업 (2023).pdf


8 융복합 및 프랜차이즈산업 (참고8)

적용 범위
융복합산업
❍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산업간, 기술과 산업간, 기술간 또는 기업이 공동으로 새로운 제품이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으로서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
① 농공상 융합기업
–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제39조의 2에 따라 농공상 융합분야로 협업지원사업의 대상자로 선정된 기업
– 농림축산식품부 선정 “농공상 융합형 중소기업”
② 농공상 융합기업 이외의 융복합산업 : 『산업융합 촉진법』에 따라 융복합산업으로 인정되는 산업을 영위하는 기업
프랜차이즈산업
❍ 『가맹사업거래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이하 “가맹사업법”이라 한다)상 가맹사업*을 하는 기업으로 공정거래위원회에 정보공개서를 등록(가맹사업법 제3조에 해당하는 경우 예외)한 업체(가맹본부)에 한함

* 가맹사업 해당 요건
① 가맹본부가 가맹점사업자에게 영업표지 사용을 허락
② 가맹점사업자는 일정한 품질기준이나 영업방식에 따라 상품 또는 용역을 판매
③ 가맹본부는 경영 및 영업활동 등에 대한 지원, 교육, 통제를 수행
④ 영업표지 사용 및 경영·영업활동 등에 대한 지원·교육에 대한 대가로 가맹금 지급
⑤ 계속적인 거래관계(가맹사업법 제2조제1호)

PDF 파일 [참고 8] 융복합 및 프랜차이즈산업 (2023).pdf 구체적인 적용범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9 물류산업 (참고9)

화물 · 여객 운송업, 창고업, 보관업, 터미널 운영업, 화물 취급업 등

표준산업 분류코드해당 업종
49101철도 여객운송업
49102철도 화물운송업
49211도시철도 운송업
49301일반 화물자동차 운송업
49302용달 화물자동차 운송업
49303개별 화물자동차 운송업
49500파이프라인 운송업
50112외항 화물 운송업
50122내항 화물 운송업
50202항만 내 여객 운송업
50209기타 내륙 수상 운송업
51100항공 여객운송업
51200항공 화물운송업
52101일반 창고업
52102냉장 및 냉동 창고업
52103농산물 창고업
52104위험물품 보관업
52109기타 보관 및 창고업
52913물류 터미널 운영업
52921항구 및 기타 해상 터미널 운영업
52941항공 및 육상 화물 취급업
52942수상 화물 취급업
52991통관 대리 및 관련 서비스업
52992화물 운송 중개, 대리 및 관련 서비스업
52993화물 포장, 검수 및 계량 서비스업
76190기타 운송장비 임대업

PDF 파일 [참고 9] 물류산업 (2023).pdf 세부 업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0 유망소비재산업 (참고10)

실내용품, 의류, 가방, 신발, 주방용품, 문구,완구, 위생용품, 인쇄물, 세제류, 화장품, 의약품, 주방용품, 위생용품, 컴퓨터, 가전, 안경, 시계, 가전, 문구,완구, 가구, 귀금속, 악기, 운동레져용품 등

[참고10] 유망소비재산업

구분KSIC10해당 업종
식음료품10식료품 제조업
식음료품11음료 제조업
실내용품13221침구 및 관련제품 제조업
실내용품13222자수제품 및 자수용 재료 제조업
실내용품13223커튼 및 유사제품 제조업
실내용품1391카펫, 마루덮개 및 유사제품 제조업
의류14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가방1512핸드백,가방 및
기타 보호용 케이스 제조업
신발1521신발제조업
주방용품16291목재 도구 및
주방용 나무제품 제조업
문구,완구17901문구용 종이제품 제조업
위생용품17902위생용 종이제품 제조업
인쇄물18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세제류20421계면활성제 제조업
세제류20422치약, 비누 및 기타 세제 제조업
화장품20423화장품제조업
의약품212의약품 제조업
주방용품23191가정용 유리제품 제조업
주방용품23221가정용 및 장식용 도자기 제조업
위생용품23222위생용 및 산업용 도자기 제조업
주방용품25992수동식 식품 가공기기 및
금속 주방용기 제조업
위생용품25993금속 위생용품 제조업
컴퓨터263컴퓨터 및 주변장치 제조업
가전2652오디오, 스피커 및
기타 음향기기 제조업
안경27193안경 및 안경렌즈 제조업
시계27400시계 및 시계부품 제조업
가전28511주방용 전기기기 제조업
(전자레인지, 밥솥, 냉장고 등)
가전28512가정용 전기 난방기기 제조업
(전지장판, 전기보일러, 온풍기 등)
가전28519기타 가정용 전기기기 제조업
(전기면도기, 드라이기, 세탁기 등)
가전2852가정용 비전기식 조리 및
난방 기구 제조업
문구,완구2918사무용 기계 및 장비 제조업
가구32가구제조업
귀금속331귀금속 및 장신용품 제조업
악기332악기 제조업
운동레져용품333운동 및 경기용구 제조업
문구,완구334인형, 장난감 및 오락용품 제조업
(33402中 불건전 영상게임기 제조업,
33409中 도박게임장비 등 불건전 오락용품 제조업 제외)
문구,완구3392사무 및 회화용품 제조업

PDF 파일 [참고 10] 유망소비재산업 (2023).pdf 세부 업종 · 품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정책자금에 대하여 궁금하다면 메일을 남겨주세요.
컨설팅 일정으로 업로드가 늦어질 수 있으니 양해 부탁드려요.


유익한 글은 공유하세요. 땡큐! 하실 겁니다.

Leave a Comment